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사회 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 개선 사업 지원금 제도 자세히 알아보기

by Hi! Senior 2025. 1. 24.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사회 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 개선 사업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사업은 사회 취약계층의 거주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활환경 유해인자를 점검하고, 실내환경을 개선하여 환경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지원금 제도입니다.

 

지금부터 신청 방법, 지원 대상, 선정 기준, 지원 내용, 제출 서류 등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주요 내용

구  분 주 요 내 용
신청기간 별도 문의
전화문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02-2284-1813), 환경부 (044-201-6767)
신청방법  대상자 선정 요청(환경부→지자체)
- 취약계층 대상자 수요 조사 및 선정(지자체)
- 대상자 통보(지자체→환경부)
접수기관 지방자치체 환경관련 부서 등,··구청
지원형태 현물, 이용권

 

□ 지원 대상

○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사회 취약계층 거주 가구 약 1,500개소를 대상으로 합니다. 사회 취약계층에는 저소득층, 소년·소녀 가장, 장애인, 독거노인 가구 등이 포함됩니다. 지원 규모는 사업 추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실내환경 개선

실내환경 진단·컨설팅을 받은 가구 중에서 실내환경 개선이 시급한 가구 약 500개소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 또한 사업 추진 상황에 따라 지원 규모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선정 기준

지원 대상은 취약계층 거주 가구로, 독거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소년·소녀 가장, 저소득층 가구 등이 포함됩니다.

 

□ 지원 내용

○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지자체에서 추천한 취약계층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진단 결과를 설명하며, 오염물질 노출 저감 방법을 안내합니다. 측정하는 오염물질에는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탄소(CO2),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등 총 7종이 포함됩니다.

○ 실내환경 개선

실내환경 진단·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효과성을 검토하여 선정된 가구에 대해 후원기업에서 기부받은 친환경 자재를 활용하여 실내환경 개선공사를 지원합니다. 개선 방법으로는 친환경 벽지 시공, 장판 교체 등이 있습니다. 지원 내용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구비 서류

별도로 제출해야 할 서류는 없습니다.

 

환경부 사회 취약계층 실내환경 진단 개선 사업 지원금 제도가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환경복지를 증진하고, 사회 취약계층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 자료출처 : 보조금24